안녕하세요! 주식 시장의 복잡한 움직임 속에서 추세의 방향을 잡고, 특히 언제 추세가 바뀔지 예측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죠. 오늘은 이런 고민을 덜어줄 수 있는 독특하고 시각적인 지표, Parabolic SAR (파라볼릭 SA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름은 어렵지만, 차트에서는 점으로 표시되어 아주 직관적이에요!
Parabolic SAR, 그게 뭔가요?
Parabolic SAR은 Stop and Reverse (멈추고 뒤집기)의 약자예요. 이름처럼 추세의 방향을 파악하고, 잠재적인 추세 반전 시점을 알려주며, 동시에 움직이는 손절매 (Trailing Stop-Loss) 지점 역할을 하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차트에서 주가 캔들 위나 아래에 점으로 표시되는데, 마치 포물선처럼 주가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에요.
- 점이 주가 아래에 있으면: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매수 포지션 유지)
- 점이 주가 위에 있으면: 주가가 하락 추세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매도 포지션 유지 또는 매수 회피)


왜 Parabolic SAR이 중요할까요?
Parabolic SAR은 단순하지만 강력한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여 투자 결정에 큰 도움을 줍니다.
- 직관적인 추세 확인: 점의 위치만으로 현재 추세가 상승인지 하락인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추세 반전 신호: 점의 위치가 주가 위아래로 뒤집히는 순간은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 자동 손절매 지점: 이 지표는 자동으로 움직이는 손절매 지점 역할을 할 수 있어, 이익을 보호하고 손실을 제한하는 데 유용합니다.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Parabolic SAR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활용됩니다.
추세 방향 파악:
- 상승 추세: Parabolic SAR 점들이 주가 캔들 아래에 위치하며 주가를 따라 상승합니다.
- 하락 추세: Parabolic SAR 점들이 주가 캔들 위에 위치하며 주가를 따라 하락합니다.


추세 반전 신호 포착 (매수/매도 신호):
- 매수 신호: 점이 주가 캔들 위에서 아래로 뒤집히는 순간. 하락 추세가 끝나고 상승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 매도 신호: 점이 주가 캔들 아래에서 위로 뒤집히는 순간. 상승 추세가 끝나고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손절매 지점 설정: 점의 위치를 따라가며 손절매 지점을 계속 위로 (상승 추세) 또는 아래로 (하락 추세) 이동시켜, 수익을 극대화하고 손실을 제한하는 데 활용합니다.
Parabolic SAR의 한계
Parabolic SAR은 추세가 명확한 시장에서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추세가 불분명하고 주가가 횡보하는 시장 (박스권)에서는 잦은 신호 (Whipsaw)를 발생시켜 손실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이럴 때는 다른 추세 확인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Parabolic SAR 설정값
Parabolic SAR은 주로 두 가지 변수를 사용합니다.
- 가속 인자 (Acceleration Factor, AF): 점이 주가에 얼마나 빠르게 근접하는지를 결정합니다. 기본값은 0.02입니다.
- 최대 가속 인자 (Maximum Acceleration Factor, Max AF): 가속 인자가 최대로 도달할 수 있는 값입니다. 기본값은 보통 0.20입니다.
AF 값이 높을수록 SAR은 주가에 더 가깝게 따라붙으며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AF 값이 낮을수록 SAR은 주가에서 멀어져 더 느리게 반응합니다.
Parabolic SAR은 추세 추종자들에게 강력한 도구이며, 특히 추세의 전환점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손절매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관련 태그: #ParabolicSAR #파라볼릭SAR #기술적분석 #추세지표 #주식차트 #추세반전 #손절매 #트레일링스탑 #주식공부 #차트줌인
'주린이도 알기쉬운 기술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술강의 06. RSI (상대강도지수) (0) | 2025.06.22 |
|---|---|
| 기술강의 05. ADX (Average Directional Index) (0) | 2025.06.21 |
| 기술강의 03.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0) | 2025.06.06 |
| 기술강의 02. 지수 이동평균선 (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 (0) | 2025.06.03 |
| 기술강의 01. 단순 이동평균선 (Simple Moving Average, SMA) (0)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