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안녕하세요! 주식 시장 분석에 필수적인 다양한 지표들을 함께 알아보고 있는 여러분, 오늘은 RSI와 비슷하면서도 거래량이라는 중요한 요소를 더해 시장의 자금 흐름을 보여주는 MFI (Money Flow Index, 자금흐름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FI는 단순히 가격 변화뿐만 아니라, 그 변화를 뒷받침하는 돈의 움직임까지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지표예요. |
| ● MFI, 그게 뭔가요? MFI는 거래량을 가중치로 사용한 RSI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주식으로 돈이 얼마나 유입되었는지 또는 유출되었는지 그 자금 흐름의 강도를 측정합니다. 0부터 100까지의 범위에서 움직이는 오실레이터 (진동형) 지표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RSI가 오직 종가만을 사용한다면, MFI는 거래량을 함께 고려하여 자금 흐름의 강도를 계산합니다. ▷ MFI 값이 높으면 (예: 80 이상): 주식으로 돈이 많이 유입되어 과매수 상태일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MFI 값이 낮으면 (예: 20 이하): 주식에서 돈이 많이 유출되어 과매도 상태일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728x90
| ● 왜 MFI가 중요할까요? MFI는 가격 움직임에 거래량이라는 '돈의 힘'을 더하기 때문에, 다른 오실레이터 지표보다 더욱 신뢰도 높은 신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신뢰도 높은 과매수/과매도: 단순히 주가가 많이 오르내리는 것을 넘어, 실제 자금의 유입/유출 강도를 통해 과열/침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추세 전환 조기 감지: MFI의 다이버전스는 강력한 추세 반전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동반된 다이버전스는 더욱 중요합니다. ▷ 숨겨진 매수/매도 압력 확인: 겉으로 보이는 가격 움직임 뒤에 숨겨진 실제 자금 흐름을 파악하여, 시장의 진짜 힘을 읽어낼 수 있습니다. |
| ● 왜 MFI가 중요할까요? MFI는 가격 움직임에 거래량이라는 '돈의 힘'을 더하기 때문에, 다른 오실레이터 지표보다 더욱 신뢰도 높은 신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신뢰도 높은 과매수/과매도: 단순히 주가가 많이 오르내리는 것을 넘어, 실제 자금의 유입/유출 강도를 통해 과열/침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추세 전환 조기 감지: MFI의 다이버전스는 강력한 추세 반전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동반된 다이버전스는 더욱 중요합니다. ▷ 숨겨진 매수/매도 압력 확인: 겉으로 보이는 가격 움직임 뒤에 숨겨진 실제 자금 흐름을 파악하여, 시장의 진짜 힘을 읽어낼 수 있습니다. |
| ●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MFI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활용됩니다. ▶ 과매수/과매도 구간 활용: ▷ MFI가 80 이상으로 상승 후 다시 80 아래로 내려올 때: 매도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자금 유입 후 매수세 둔화) |

| ▷ MFI가 20 이하로 하락 후 다시 20 위로 올라올 때: 매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자금 유출 후 매도세 둔화 또는 유입 시작) |

반응형
| ▶ 다이버전스 (Divergence) 활용: MFI의 다이버전스는 RSI보다 강력한 신호로 간주됩니다. ▷ 강세 다이버전스 (Bullish Divergence): 주가는 저점을 낮추는데, MFI는 저점을 높이는 경우. 이는 매도세가 약해지고 곧 주가가 상승 반전할 수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돈은 들어오는데 가격은 떨어지는 상태) |

| ▷ 약세 다이버전스 (Bearish Divergence): 주가는 고점을 높이는데, MFI는 고점을 낮추는 경우. 이는 매수세가 약해지고 곧 주가가 하락 반전할 수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가격은 오르는데 돈은 빠져나가는 상태) |

| ▶ 추세 확인: 상승 추세에서는 MFI가 50선을 중심으로 높은 위치에서 움직이고, 하락 추세에서는 50선 아래에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MFI가 50선을 넘으면 매수세 우위, 50선 아래면 매도세 우위로 볼 수 있습니다. |


| ● MFI 활용 시 주의사항 MFI는 거래량을 포함하기 때문에 RSI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할 때가 많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추세 지표 (예: 이동평균선, ADX)와 함께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거래량이 적은 종목이나 횡보하는 시장에서는 잦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자주 사용되는 MFI 설정값 MFI 지표의 기본 설정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간 (Period): 보통 14일을 사용합니다. ▷ 과매수 기준선: 80 ▷ 과매도 기준선: 20 이 설정값들은 일반적인 시장 상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단 설정값은 절대값이 아니며 본인의 투자전략에따라 설정하시면 됩니다. MFI는 가격과 거래량이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를 결합하여 시장의 진정한 자금 흐름을 보여주는 강력한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시장의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고 더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활용해 보세요! |
관련 태그:
#MFI #자금흐름지수 #기술적분석 #주식차트 #주식지표 #거래량지표 #과매수 #과매도 #다이버전스 #차트줌인
728x90
반응형
'주린이도 알기쉬운 기술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술강의 11. ATR (Average True Range, 평균실질범위) (11) | 2025.07.27 |
|---|---|
| 기술강의 10. OBV (On Balance Volume, 등락주가총량) (15) | 2025.07.26 |
| 기술강의 08.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s) (7) | 2025.07.19 |
| 기술강의 07. 스토캐스틱 (Stochastic Oscillator) (0) | 2025.07.06 |
| 기술강의 06. RSI (상대강도지수) (0)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