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KOSPI : 삼성SDI (보통주) 기술적 분석보고서

작성일: 2025년 7월 31일

분석 종목: KOSPI : 삼성SDI (보통주)

삼성SDI(보통주)는 배터리 및 전자 소재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대표 기업으로, 전기차 배터리 및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유럽 및 북미 시장에서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 계약 확대로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가 단기적인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월봉 (Monthly Chart)]

  • 차트 흐름: 삼성SDI는 상장했을 때부터 현재까지 장기 하락 추세에 있습니다. 2021년 고점 이후 하락 추세가 시작되어 장기 하락선이 지나가는 구간에 있습니다.
  • 정량적 기술지표(EMA, RSI, MACD, ADX, 거래량) 및 종합 해석:
    • EMA: 장기 이평선들이 역배열을 형성하며 장기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RSI: 과매도권에서 벗어나 중립으로 향하고 있으며, 매수 강도가 서서히 회복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MACD: 0선 아래에서 골든크로스를 형성하며 매수 에너지가 증가할 수 있으나, 아직 강한 상승 전환 신호는 부족합니다.
    • ADX: 하락 추세 강도가 약화되며, 추세 전환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거래량: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꾸준한 관심이 유효합니다.
    • 매물대 분석: 234,500 레벨은 상승 추세 전환을 위한 주요 레벨입니다. 이 레벨을 상방 돌파해야 상승에 힘이 좋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종합 해석: 월봉은 여전히 장기 하락 추세에 있으며, 234,500 레벨을 돌파해야 장기 추세 전환의 신호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과거 대량 거래가 이루어졌던 기준 레벨로 강력한 장기 저항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728x90

[주봉 (Weekly Chart)]

  • 차트 흐름: 2023년 이후 횡보하는 박스권 형태를 보이며 바닥을 다지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201,000원은 184,300 핵심 레벨과 208,000 주요 저항선 사이에 위치합니다.
  • 정량적 기술지표(EMA, RSI, MACD, ADX, 거래량) 및 종합 해석:
    • EMA: 중기 EMA들이 수렴하며 횡보 또는 단기 상승 전환을 시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RSI: 중립 구간에서 등락을 보이며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하는 흐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MACD: 0선 부근에서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가 반복되며 횡보 흐름을 보일 수 있습니다.
    • ADX: 추세 강도가 약함을 나타내며 횡보 장세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 거래량: 횡보 구간에서 특정 방향성 없이 등락하며, 중요한 가격대에서 거래량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 매물대 분석: 184,300 레벨은 과거 지지력을 발휘했던 레벨이며, 최근 상향 돌파하면서 모멘텀이 강화된 레벨입니다.
    • 종합 해석: 주봉은 횡보 국면에 있으며, 184,300 레벨의 지지 여부와 208,000 레벨의 돌파 여부가 중요합니다.

 

[일봉 (Daily Chart)]

  • 차트 흐름: 단기적으로 상승 시도와 조정을 반복하며 184,300 레벨 위에서 지지력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201,000원은 184,300 핵심 레벨 위에 위치합니다.
  • 정량적 기술지표(EMA, RSI, MACD, ADX, 거래량) 및 종합 해석:
    • EMA: 단기 EMA가 중장기 EMA를 상향 돌파하며 정배열 초기 형성, 단기 상승 추세 전환 시도.
    • RSI: 중립 구간에서 등락을 보이며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하는 흐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MACD: 0선 부근에서 골든크로스를 형성하며 매수 신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ADX: 추세 강도가 약화되며 횡보 또는 조정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거래량: 저점 형성 후 반등 과정에서 유의미한 거래량 증가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매물대 분석: 184,300 레벨은 현 시점에서 하방 이탈하지 않고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최근 단기적인 시점에서 이 레벨을 상향 돌파하여 자금 유입이 발생하였고 OBV가 상승세를 보이며 매수 세력이 강화되었습니다.
    • 종합 해석: 일봉은 단기적으로 상승 전환을 시도하는 모습이며, 184,300 레벨의 지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4시간봉 (4-Hour Chart)]

  • 차트 흐름: 단기적인 횡보 또는 약세 흐름을 보일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저항선 사이에서 움직임을 보이며 방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 정량적 기술지표(EMA, RSI, MACD, ADX, 거래량) 및 종합 해석:
    • EMA: 단기 EMA들이 중기 EMA 아래에 위치하거나 수렴하며 횡보 또는 약세 흐름을 보일 수 있습니다.
    • RSI: 중립 구간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매수/매도세가 균형을 이루는 모습입니다.
    • MACD: 0선 부근에서 데드크로스 또는 골든크로스가 반복되며 뚜렷한 방향성 없음.
    • ADX: 추세 강도가 약함을 나타내며 횡보 장세 시사.
    • 거래량: 특정 방향성 없이 등락하며, 중요한 가격대에서 거래량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 매물대 분석: 184,300 레벨은 단기적으로 가격이 하락하다가도 빠르게 반등하는 움직임을 보였던 구간입니다.
    • 종합 해석: 4시간봉은 단기적으로 횡보 국면에 있으며, 184,300 레벨의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1시간봉 (1-Hour Chart)]

  • 차트 흐름: 매우 단기적으로 횡보하는 흐름을 보이며, 주요 지지/저항 구간에서 힘겨루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정량적 기술지표(EMA, RSI, MACD, ADX, 거래량) 및 종합 해석:
    • EMA: 단기 EMA들이 수렴하며 횡보 또는 약세 흐름을 보일 수 있습니다.
    • RSI: 중립 구간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뚜렷한 방향성 없음.
    • MACD: 0선 부근에서 잦은 교차가 나타나며 횡보 흐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ADX: 낮은 값으로 뚜렷한 추세 없음.
    • 거래량: 특정 방향성 없이 등락하며, 중요한 가격대에서 거래량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 매물대 분석: 184,300 레벨은 현 시점의 핵심 레벨입니다.
    • 종합 해석: 1시간봉은 매우 단기적으로 횡보하는 흐름을 보이며, 주요 지지/저항 구간에서 힘겨루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차트줌인의 종합 기술지표 요약

월봉과 주봉에서는 EMA와 MACD가 장기적인 지지와 저항 레벨을 확인하며, Parabolic SAR와 ADX가 추세의 강약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일봉과 4시간봉에서는 스토캐스틱과 볼린저 밴드가 단기 반등과 조정 구간을 시사하며, MFI와 OBV가 자금 흐름과 매수/매도 세력의 균형을 상세히 반영합니다. 1시간봉에서는 RSI와 MACD 히스토그램이 단기 모멘텀을, ATR이 변동성 관리를 보여줍니다. 현재 184,300을 유지하며 EMA(50)과 MACD의 긍정적인 신호가 두드러지나, 208,000 돌파 시 박스권 형성, 234,500 돌파 시 강세 전환이 기대됩니다.

반응형

 ● 이 이벨을 하방이탈하지않고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핵심
   ○ 25년 5월에 반등한 단기 상승분에대해 충분이 이 레벨까지 조정받을 수 있음
   ○ 이 레벨은 과거 지지력을 발휘했던 레벨이며, 최근 상향 돌파하면서 모멘텀이 강화된 레벨
   ○ 이 레벨은 하방 이탈 시 약세 전환 가능성이 높음
   ○ 최근 단기적 시점에서 이 레벨을 상향 돌파하여 자금 유입이 발생하며 OBV가 상승세를 보이고 매수 세력이 강화됨
   ○ 최근 볼린저 밴드 중간선과 맞물리며 지지 반응이 나타났고, 조정 시 이탈 시 변동성 확대가 예상
   ○ 이 레벨을 상향 돌파하며 단기 반등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하방 이탈 시 기술적 매수 신호가 약화될 수 있음

 ● 2018년 하락장에서 171,400은 주요 저점으로, 거래량이 급증하며 매물대가 형성된 구간
   ○ 최근 반등세에서 이 레벨에서 지지선을 형성했고, 상방 돌파 후 반등한 이력이 있어 지지 가능성을 시사
   ○ 이 레벨에서는 매물대와 함께 자금 유입이 확인되었되며 상승 곡선을 그리며 매수 압력이 강해진 레벨
   ○ 현 시점에서 이 주식은 장기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태임으로 이 구간에서 매수는 매우 주의해야 함

 ● 이 레벨을 상방돌파해야 상승추세로 전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 고점과 중첩되며 저항선으로 작용했고, 약세 신호를 보이는 레벨
   ○ 상방 돌파 시 208,000~234,500 구간에서 박스권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 상단 근처에서 저항 반응이 나타났고, 돌파를 위한 추가 상승 모멘텀이 필요
   ○ 단기신호에서는 과매수 경보신호가 보이며 자금 유출이 관찰되었고 하락전환되어 저항이 발생한 레벨

   현 시점에서 장기시점에서는 하락추세 속에 있으며 추세 전환을 위해서 이 레벨을 상방돌파해야 함
   ○ 뚜렷한 반등없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삼성SDI 주식은 이 레벨 위에있어야 투자 가치가 있음
   ○ 이 레벨 상방돌파시 재분석 필요하며 이 레벨을 상방돌파하지않으면 같은 사이클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음

   184,300 지지구간을 근거로 매수가능한 구간
   ○ 만약, 지지받지못하고 반등에 실패할 경우, 손절가 178,600레벨에서 손절전략필요

 ● 이 레벨에서 기술적 반등을 기대할 수 있지만 하방이탈시 큰 폭으로 이탈할 수 있다
   ○ 이 레벨에서 바닥을 잡을 수 있지만 하방이탈시 당장 강한 지지선이 없음
   ○ 만약, 지지받지못하고 반등에 실패할 경우, 손절가 169,800레벨에서 빠른 손절전략필요
      ※ 물론 재반등할 수 있지만 이러한 기대보다 큰폭으로도 하락할 수 있으니 작은 손실로 손절하는 것을 추천
● 주의 : High Risk, High Return
   투자 성공 가능성이 낮을수록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지만, 반대로 손실 가능성도 커진다
   바닥에서 포지션을 잡을 땐 하방이탈에 매우 주의가 필요

 ▶ 최근 3개월 내 주요 이슈 (호재 및 악재) 요약

  • 호재:
    •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배터리 수요 증가 지속.
    • Gen 6 배터리 개발 및 상용화 노력: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
    •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 및 양산 로드맵 제시.
    • ESS(에너지 저장 장치) 시장 성장: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인한 ESS 수요 증가.
  • 악재:
    •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우려: 고금리, 경기 둔화 등으로 인한 전기차 수요 증가세 둔화 가능성.
    • 중국 배터리 기업과의 경쟁 심화: CATL, BYD 등 중국 기업들의 공격적인 시장 확장 및 가격 경쟁.
    • 신기술 개발 경쟁 및 투자 비용 증가: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을 위한 막대한 투자 비용 부담.
    •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자체 배터리 생산 움직임: 일부 완성차 업체들의 배터리 내재화 추진은 배터리 공급사에 위협 요인.

 

 ▶ 분석 자료의 한계 및 유의사항

  • 미래 예측의 불확실성: 본 보고서의 모든 기술적 분석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확률적 예측이며, 미래를 100% 확신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시장 상황, 거시 경제 변수, 기업의 대내외적 이슈 등에 따라 주가는 예상과 다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트레이더는 미래를 예측하는 예언가가 아닙니다.
  • 기술적 분석의 한계: 기술적 분석은 주가 차트 패턴과 거래량 등 과거 데이터를 활용하며, 기업의 본질적 가치나 새로운 정보 반영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정보의 시의성: 제공된 차트 데이터는 2025년 7월 31일 기준입니다.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시장 상황을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투자 책임: 본 증시 차트 기술적 분석 정보는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권유 또는 추천의 목적이 아닙니다. 제공되는 모든 차트 분석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보조적인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 및 그 결과에 따르는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분석 정보에 의존하여 발생한 손실에 대해 정보 제공자는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항상 고위험-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을 고려하고 전체 매수하지 마시고 분할 매수 및 분할 매도하시면서 상승 시의 이익 실현 대응 전략과 하락 시의 최소 손실 대응 전략을 가져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시해드리는 매수 타점은 현시점 시장에서 가장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거래 타점을 의미합니다.

 ▶  최종 결론

삼성SDI는 장기 하락 추세 속에서 중요한 바닥 다지기 구간에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 및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이라는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우려 및 경쟁 심화 등의 악재도 상존합니다. 핵심은 184,300원 레벨을 하방 이탈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 레벨을 유지한다면 박스권 흐름을 이어갈 수 있지만, 이탈 시에는 171,400원까지 하락 가능성이 있으며, 여전히 장기 하락 추세에 있어 바닥 매수는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208,000원을 돌파해도 박스권 형성 가능성이 높으며, 234,500원 레벨을 돌파해야 진정한 상승 전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시간대별 차트 분석 결과, 여전히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구간으로 보입니다. 신규 매수 시에는 항상 손절가를 설정하여 하방 이탈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제시된 주요 지지선과 저항선을 참고하여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검색어 태그

#삼성SDI #삼성SDI주가 #배터리주식 #2차전지 #전기차관련주 #코스피주식 #주식전망 #기술적분석 #차트줌인

SMALL
주식의 기술분석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시장상황에서 갑자기 악재 또는 호재가 발생할 수 있는데,  
트레이더는 항상 상승시 최대한의 이익실현을 할 수있는 전략과 하락시 최소한의 손실로 방어할 수 있는 대응전략을 동시에 
두고 대응을 합니다. 이러하듯 트레이더는 예언자가 아닌 전략가에 가깝습니다. 
또는 이를두고 선을 몇 개 그어놓고 지지선 또는 저항선이라고 이야기한다며 비하할 수도 있습니다.
충분히 뉴스몇개 복사해와서 거시경제를 논하며 금리및 통화정책과 물가 관련지표또는 FOMC의 전망을 해설하듯이
요약하듯 말씀드릴 수도 있지만 그것은 분석이 아닙니다. 
또는 상승 5파 하락 3파로 구성된 엘리어트 파동으로도 충분히 해설해드릴 수 있습니다만, 
주관적인 사후해석을 이용하여 구독자님들의 안전한 자산을 놀이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물론, 제가 조언해드리는 매수타점 범위에 오지않고 상방으로 급등할 수도 있습니다.
투자 포지션을 놓쳤다고 FOMO 증후군으로 매수하셔서 좋지않은 포지션 매수하셔서 손해보시지말고 
다른 투자종목을 찾아보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주식은 누군가가 이익이 발생하면 누군가는 손해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장기적 시점에서는 큰 수익을 남길 수 있는 좋은 포지션이지만 반대로 깊은 수령에 빠질 수도 있기때문에
바닥에서 포지션을 잡을 댄 하방이탈에 매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이드해드린 거래가보다 낮으니깐 무조건 쌀 때
매수하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고 생각하셔서 아무런 의미없는 거래구간에서 매수와 매도를 하지 마시고
대응이 가능한 기술적 구간에서 거래하여 소중한 자산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 전략으로 거래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